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역사 개념 다시보기

고조선·삼국시대·가야·발해·고려·조선: 역대 왕조의 계보 알아보기

by misohistory 2025. 6. 4.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의 고구려·백제·신라와 가야, 남북국 시대의 통일신라, 발해 그리고 고려와 조선까지, 수천 년 우리 역사를 이끌어온 왕조들의 계보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복잡하게 느껴졌던 한국사, 각 왕조의 왕의 계보를 따라 역사의 흐름을 쉽고 명확하게 큰 줄기를 잡아보세요.

 

프롤로그 

우리나라에는 고조선을 시작으로 삼국시대(고구려, 백제, 신라)와 가야, 남북국 시대(통일신라, 발해), 그리고 고려와 조선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에 걸친 왕조들의 역사가 이어져 왔습니다.

때로는 찬란한 문화를 꽃피우고, 때로는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우며, 때로는 내부의 갈등으로 아픔을 겪었던 순간들. 그 모든 역사의 장면들은 바로 '왕'이라는 존재를 통해 구체화되고 기록되어 왔습니다.

이 장대한 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고조선부터 조선에 이르는 왕조의 계보를 정리했습니다. 왕들의 이름을 따라가다 보면, 단순히 과거 사실의 나열을 넘어 시대의 숨결과 역사의 연속성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 계보가 복잡한 한국사의 길을 안내하는 지도가 되어, 오늘 우리가 서 있는 이 자리의 뿌리를 이해하는 즐거운 여정의 시작이 되기를 바랍니다.

 


1. 한눈에 보는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계보

▶표를 보실때 휴대폰 사용자는 가로형으로 보시면 가독성이 좋아집니다.

1) 고조선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고조선 단군왕검 기원전 2333년 (신화상) 기원전 24세기 건국 시조 (신화적 인물)
  부왕 기원전 232년경 ~
기원전 208년경
기원전 3세기  
  준왕 ? ~ 기원전 194년경 기원전 3세기 ~
기원전 2세기
위만에게 왕위 찬탈당함. 마한의 마지막왕
  위만왕 기원전 194년경 ~ ? 기원전 2세기 준왕을 쫒아내고 왕위를 차지, 위만조선 건국
  우거왕 ? ~ 기원전 108년 기원전 2세기 위만조선의 마지막 왕, 한나라에 의해 멸망

 

 

우리 역사의 문을 연 고조선은 단군왕검의 건국 이야기로부터 시작되는 우리 민족 최초의 국가입니다. 위 표에서 보듯 단군왕검부터 우거왕에 이르기까지, 고조선은 오랜 시간 동안 우리 역사의 중요한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한반도 북부와 만주 일대에 걸쳐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며 이후 등장하는 여러 국가들의 정신적, 문화적 뿌리가 되었습니다.


기원전 108년, 위만조선이 한나라에 의해 멸망하면서 고조선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됩니다.
이러한 고조선의 해체는 한반도에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켰고, 다양한 세력들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고조선 이후 한반도 중남부에는 마한, 변한, 진한으로 불리는 삼한이 존재했습니다. 이들은 각각 수십 개의 작은 나라(소국)들로 이루어진 연맹체였습니다.
이후 마한 지역에서는 백제가, 변한 지역에서는 가야 연맹이, 진한 지역에서는 신라가 성장하여 고대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게 됩니다.


구석기 시대의 수렵·채집, 신석기 시대의 농경·정착, 청동기 시대의 계급 발생 모습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선사 시대 파노라마 그림.
🎨이미지 설명: 구석기 시대의 이동 생활부터 신석기 시대의 농경 혁명, 그리고 계급이 발생한 청동기 시대까지, 한반도 선사 시대의 발전 과정을 한눈에 보여줍니다.


2) 삼국시대 고구려

고조선 멸망 이후, 한반도 북부와 만주 지역에서는 여러 세력들이 등장하는 가운데 고구려가 건국되었습니다.
주몽(동명성왕)에 의해 세워진 고구려는 강력한 군사력과 넓은 영토를 바탕으로 우리 역사상 가장 광대한 영역을 개척했던 국가입니다.

백제, 신라와 함께 치열한 경쟁과 교류를 거듭하며 삼국시대의 한 축을 담당했던 고구려는 독자적이고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용맹하고 기상 넘쳤던 고구려를 이끌었던 왕들의 계보와 그 시대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삼국시대 
고구려
1 동명성왕
(주몽)
기원전 37년 ~
기원전 19년
기원전 1세기 고구려 건국 시조
  2 유리명왕 기원전 19년 ~ 18년 기원전 1세기 국내성 천도
  3 대무신왕 18년 ~ 44년 1세기 부여 공격, 낙랑국 정복 (설화)
  4 민중왕 44년 ~ 48년 1세기  
  5 모본왕 48년 ~ 53년 1세기  
  6 태조왕 53년 ~ 146년 1세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옥저 정복
  7 차대왕 146년 ~ 165년 2세기  
  8 신대왕 165년 ~ 179년 2세기  
  9 고국천왕 179년 ~ 197년 2세기 왕위 부자 상속 확립, 진대법 실시
  10 산상왕 197년 ~ 227년 2세기 (즉위) 환도성 축조 (주요 활동 3세기 초)
  11 동천왕 227년 ~ 248년 3세기 위나라 관구검의 침입
  12 중천왕 248년 ~ 270년 3세기  
  13 서천왕 270년 ~ 292년 3세기  
  14 봉상왕 292년 ~ 300년 3세기 폭정, 국상 창조리에 의해 폐위
  15 미천왕 300년 ~ 331년 3세기 (즉위) 낙랑군 축출 (주요 활동 4세기 초)
  16 고국원왕 331년 ~ 371년 4세기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에서 전사
  17 소수림왕 371년 ~ 384년 4세기 불교 수용, 태학 설립, 율령 반포
  18 고국양왕 384년 ~ 391년 4세기  
  19 광개토대왕 391년 ~ 412년 4세기 (즉위) 활발한 정복 활동 (주요 활동 4세기 말 ~ 5세기 초)
  20 장수왕 412년 ~ 491년 5세기 남하 정책, 평양성 천도, 고구려 최대 영토 확보
  21 문자명왕 492년 ~ 519년 5세기 (즉위) 부여 병합 (주요 활동 5세기 말 ~ 6세기 초)
  22 안장왕 519년 ~ 531년 6세기  
  23 안원왕 531년 ~ 545년 6세기  
  24 양원왕 545년 ~ 559년 6세기  
  25 평원왕 559년 ~ 590년 6세기 온달 장군 설화
  26 영양왕 590년 ~ 618년 6세기 (즉위) 수나라와의 전쟁
(살수대첩, 주요 활동 
6세기 말 ~ 7세기 초)
  27 영류왕 618년 ~ 642년 7세기 연개소문에 의해 시해
  28 보장왕 642년 ~ 668년 7세기 고구려 마지막 왕,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

화려한 금관을 쓴 백제의 왕과 왕족들이 탁자 위 백제금동대향로에서 피어오르는 향을 감상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 설명: 백제의 정교한 공예 기술과 찬란한 불교 예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백제금동대향로. 당시 동아시아 최고 수준이었던 백제의 문화적 역량을 짐작하게 합니다.


3) 삼국시대 백제

앞서 언급된 삼한 중 마한 지역에서는 온조왕에 의해 백제가 건국되었습니다.
한강 유역에 자리를 잡고 성장한 백제는 세련되고 우아한 문화를 꽃피웠으며, 뛰어난 해상 활동을 통해 중국 및 왜(일본)와 활발히 교류하며 동아시아 문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었던 백제는 때로는 치열하게 경쟁하고 때로는 협력하며 역사의 흐름을 주도했습니다.
아래 표는 초기 한성 시대부터 웅진, 사비 시대를 거치며 백제를 이끌었던 왕들의 계보와 그 시대의 주요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삼국시대
백제
1 온조왕 기원전 18년 ~ 28년 기원전 1세기 백제 건국 시조
  2 다루왕 28년 ~ 77년 1세기  
  기루왕 77년 ~ 128년 1세기 (즉위) (주요 활동 1세기 말 ~ 2세기 초)
  개루왕 128년 ~ 166년 2세기  
  초고왕 166년 ~ 214년 2세기 (즉위) (주요 활동 2세기 말 ~ 3세기 초)
  구수왕 214년 ~ 234년 3세기  
  사반왕 234년 3세기  
  8 고이왕 234년 ~ 286년 3세기 관등제 정비, 율령 반포, 중앙 집권 체제 강화
  책계왕 286년 ~ 298년 3세기  
  10 분서왕 298년 ~ 304년 3세기 (즉위) (주요 활동 3세기 말 ~ 4세기 초)
  11 비류왕 304년 ~ 344년 4세기  
  12 계왕 344년 ~ 346년 4세기  
  13 근초고왕 346년 ~ 375년 4세기 백제 최전성기, 마한 정복, 요서 진출, 고구려 공격
  14 근구수왕 375년 ~ 384년 4세기  
  15 침류왕 384년 ~ 385년 4세기 불교 수용
  16 진사왕 385년 ~ 392년 4세기  
  17 아신왕 392년 ~ 405년 4세기 (즉위) (주요 활동 4세기 말 ~ 5세기 초)
  18 전지왕 405년 ~ 420년 5세기  
  19 구이신왕 420년 ~ 427년 5세기  
  20 비유왕 427년 ~ 455년 5세기  
  21 개로왕 455년 ~ 475년 5세기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으로 전사, 한성 함락
  22 문주왕 475년 ~ 477년 5세기 웅진 천도
  23 삼근왕 477년 ~ 479년 5세기  
  24 동성왕 479년 ~ 501년 5세기 (즉위) 신라와 혼인 동맹 강화, 탐라 복속
(주요 활동
5세기 말)
  25 무령왕 501년 ~ 523년 6세기 22담로 파견, 중국 남조와 교류, 무령왕릉
  26 성왕 523년 ~ 554년 6세기 사비 천도, 국호 남부여로 변경,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
  27 위덕왕 554년 ~ 598년 6세기  
  28 혜왕 598년 ~ 599년 6세기  
  29 법왕 599년 ~ 600년 6세기 살생 금지령
  30 무왕 600년 ~ 641년 6세기 (즉위) 익산 미륵사 창건 (주요 활동 7세기 초)
  31 의자왕 641년 ~ 660년 7세기 백제 마지막 왕,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

밤하늘 아래 첨성대를 배경으로 신라의 학자들이 천체 기구를 이용해 별을 관측하고, 칼을 찬 화랑들이 이를 지켜보고 있는 모습.
🎨이미지 설명: 밤하늘의 별을 관측했던 첨성대와 삼국 통일의 주역이었던 화랑. 과학 기술에 대한 탐구와 강인한 상무 정신은 신라를 이끈 두 개의 기둥이었습니다.


4) 삼국시대 신라

앞서 언급된 삼한 중 진한 지역의 여러 소국 중 하나였던 사로국에서 시작한 신라는 박혁거세에 의해 건국되었습니다.
초기에는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다 점차 영토를 확장하고 국가 체제를 정비하며 삼국 중 가장 늦게 고대 국가로 발전했지만, 결국 삼국을 통일하는 위업을 달성했습니다.

신라의 역사를 이야기할 때, 특히 삼국 통일 이후의 시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남북국 시대'라는 개념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남북국 시대란 신라의 삼국통일과 발해의 건국(698년)부터 후삼국 시대 이전까지, 남쪽의 신라(남국)와 북쪽의 발해(북국)가 공존했던 시기를 일컫는 한국사의 시대 구분입니다. 이전에는 이 시기를 주로 '통일신라 시대'로 불렀습니다.

하지만 '통일신라'라는 명칭이 우리 역사의 중요한 부분인 발해를 충분히 포괄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이 제기되면서, 발해를 한국사에 적극적으로 포함하고 두 나라의 역사를 균형 있게 아우르기 위해 '남북국 시대'라는 용어가 제안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시대를 부르는 명칭 하나에도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과 이해가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시대를 구분하는 명칭을 이해하는 것에서부터 진정한 역사 알아가기가 시작되는 것 같습니다. 이제 이러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신라의 왕들을 만나보겠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신라
(통일이전)
1 혁거세 거서간 기원전 57년 ~ 4년 기원전 1세기 건국 시조, 삼국유사 일연-혁거세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
  남해 차차웅 4년 ~ 24년 1세기  
  유리 이사금 24년 ~ 57년 1세기 6부의 명칭 개정, 이사금 칭호 시작
  탈해 이사금 57년 ~ 80년 1세기 석씨 왕조 시작, 석탈해 설화
  파사 이사금 80년 ~ 112년 1세기 (즉위) (주요 활동 1세기 말 ~ 2세기 초)
  지마 이사금 112년 ~ 134년 2세기  
  일성 이사금 134년 ~ 154년 2세기  
  아달라 이사금 154년 ~ 184년 2세기  
  벌휴 이사금 184년 ~ 196년 2세기  
  10 내해 이사금 196년 ~ 230년 2세기 (즉위) (주요 활동 2세기 말 ~ 3세기 초)
  11 조분 이사금 230년 ~ 247년 3세기  
  12 첨해 이사금 247년 ~ 261년 3세기  
  13 미추 이사금 262년 ~ 284년 3세기 김씨 최초 왕위 계승(김씨 왕조의 시조)
  14 유례 이사금 284년 ~ 298년 3세기  
  15 기림 이사금 298년 ~ 310년 3세기 (즉위)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변경 (주요 활동 3세기 말 ~ 4세기 초)
  16 흘해 이사금 310년 ~ 356년 4세기  
  17 내물 마립간
(내물왕)
356년 ~ 402년 4세기 김씨 왕위 세습 확립, 마립간 칭호 사용, 고구려와 관계 강화
  18 실성 마립간 402년 ~ 417년 5세기 눌지를 고구려에 인질로 보냄
  19 눌지 마립간 417년 ~ 458년 5세기 백제와 나제동맹 체결, 불교 전래 (묵호자)
  20 자비 마립간 458년 ~ 479년 5세기  
  21 소지 마립간 479년 ~ 500년 5세기 우역 설치, 시장 개설, 행정 구역 정비
  22 지증왕 500년 ~ 514년 5세기 (즉위) 국호 '신라', '왕' 칭호 사용, 우산국 복속, 순장 금지 (주요 활동 6세기 초)
  23 법흥왕 514년 ~ 540년 6세기 율령 반포, 불교 공인, 병부 설치, 금관가야 병합, 건원 연호 사용
  24 진흥왕 540년 ~ 576년 6세기 신라 최전성기, 화랑도 정비, 한강 유역 확보, 대가야 병합, 순수비 건립
  25 진지왕 576년 ~ 579년 6세기 폐위됨
  26 진평왕 579년 ~ 632년 6세기 (즉위) 위화부 등 중앙 관서 정비, 수나라/당나라와 교류 (주요 활동 6세기 말 ~ 7세기 초)
  27 선덕여왕 632년 ~ 647년 7세기 한국 최초의 여왕,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건립
  28 진덕여왕 647년 ~ 654년 7세기 나당 동맹 체결 기초 마련, 중국식 의관 제도 도입
  29 무열왕
(김춘추)
654년 ~ 661년 7세기 삼국 통일의 기반 마련, 백제 멸망 (신라 중대 시작)
통일신라 시작
676년~935년
 30 문무왕 661년 ~ 681년 7세기 삼국 통일 완성 (고구려 멸망, 당나라 축출), 외사정 파견
   31 신문왕 681년 ~ 692년 7세기 전제 왕권 강화 (김흠돌의 난 진압), 국학 설립, 녹읍 폐지, 9주 5소경 정비
남북국 시대 
시작
 32 효소왕 692년 ~ 702년 7세기 (즉위) (주요 활동 7세기 말 ~ 8세기 초)
   33 성덕왕 702년 ~ 737년 8세기 왕권 안정, 정전 지급, 당과의 관계 개선
   34 효성왕 737년 ~ 742년 8세기  
  35 경덕왕 742년 ~ 765년 8세기 불국사, 석굴암 창건, 녹읍 부활, 한화 정책 추진, 관직 명칭 중국식 변경
  36 혜공왕 765년 ~ 780년 8세기 왕권 약화, 귀족 반란 심화 (김지정의 난), 신라 중대 마지막 왕
  37 선덕왕
(김양상)
780년 ~ 785년 8세기 (신라 하대 시작)
  38 원성왕 785년 ~ 798년 8세기 독서삼품과 설치
  39 소성왕 799년 ~ 800년 8세기 (즉위) (주요 활동 8세기 말)
  40 애장왕 800년 ~ 809년 8세기 (즉위) 김헌창의 난으로 시해 (주요 활동 9세기 초)
  41 헌덕왕 809년 ~ 826년 9세기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42 흥덕왕 826년 ~ 836년 9세기 장보고의 청해진 설치 허가, 사치 금지령
  43 희강왕 836년 ~ 838년 9세기 김명의 난으로 시해
  44 민애왕 838년 ~ 839년 9세기 김우징(신무왕)에 의해 제거
  45 신무왕 839년 9세기 재위 기간 짧음
  46 문성왕 839년 ~ 857년 9세기 장보고의 난
  47 헌안왕 857년 ~ 861년 9세기  
  48 경문왕 861년 ~ 875년 9세기  
  49 헌강왕 875년 ~ 886년 9세기 "처용가" 관련 설화
  50 정강왕 886년 ~ 887년 9세기  
  51 진성여왕 887년 ~ 897년 9세기 농민 봉기 (원종·애노의 난), 최치원의 시무 10여조, 후삼국 시대 시작 조짐
  52 효공왕 897년 ~ 912년 9세기 (즉위) (주요 활동 9세기 말 ~ 10세기 초)
  53 신덕왕 912년 ~ 917년 10세기 박씨 왕조 일시적 부활
  54 경명왕 917년 ~ 924년 10세기  
  55 경애왕 924년 ~ 927년 10세기 후백제 견훤에 의해 포석정에서 시해
  56경순왕(김부) 927년 ~ 935년 10세기 신라 마지막 왕, 고려 태조 왕건에게 항복

 

5)  가야 (금관가야)

우리가 '가야'라고 부르는 나라들은 여러 소국으로 이루어진 연맹체였습니다. 그중에서도 금관가야는 변한 지역에서 성장한 초기 가야 연맹을 이끌었던 중심 국가였습니다.

금관가야의 초기 명칭은 중국 사서 『삼국지』 동이전에 구야국 또는 구야한국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가야 또는 가야 한국을 한자로 음차(소리 나는 대로 옮김)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후 우리나라 문헌, 특히 『삼국유사』에서는 가락국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이 외에도 가야, 가라, 가량 등 다양한 한자로 표기되었습니다.
가야라는 명칭은 처음에는 금관가야를 지칭하는 말이었을 수 있지만, 금관가야가 1세기 중엽부터 4세기 말까지 변한 지역의 여러 소국 연맹체를 주도하면서 점차 이 지역 전체 또는 연맹체 자체를 일컫는 넓은 의미의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한편, 대가야라는 명칭은 두 가지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첫째, 초기에 금관가야가 가야 연맹을 이끌었을 때, 이 연맹체를 '대가야'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즉, '큰 가야 연맹' 정도의 의미였을 수 있습니다.
둘째, 이후 금관가야의 세력이 약화되자, 고령 지역의 반파국이 새롭게 힘을 키워 후기 가야 연맹의 맹주로 부상했습니다.
이 반파국이 스스로를 '대가야'라고 칭하며 후기 가야 연맹을 대표하게 되었고, 오늘날 우리가 흔히 '대가야'라고 할 때는 주로 이 고령의 대가야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아래 표에서는 초기 가야 연맹의 중심이었던 금관가야의 왕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가야
(금관가야 중심)
1 수로왕
(김수로)
42년 ~ 199년 1세기 ~ 2세기 가락국 초대 국왕, 김해 김씨 시조, 구지가
  2 거등왕 199년 ~ 253년 2세기 ~ 3세기  
  3 마품왕 253년 ~ 291년 3세기  
  4 거질미왕 291년 ~ 346년 3세기 ~ 4세기  
  5 이시품왕 346년 ~ 407년 4세기 ~ 5세기  
  6 좌지왕 407년 ~ 421년 5세기  
  7 취희왕 421년 ~ 451년 5세기  
  8 질지왕 451년 ~ 492년 5세기  
  9 겸지왕 492년 ~ 521년 5세기 ~ 6세기  
  10 구형왕 521년 ~ 532년 6세기 금관가야 마지막 왕, 신라 법흥왕에게 항복

 

6) 남북국 시대 - 발해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한반도 북부와 만주 일대에서는 고구려 멸망 이후 흩어졌던 고구려 유민들과 말갈족이 힘을 합쳐 새로운 국가를 세웠습니다.
이 나라가 바로 대조영에 의해 건국된 발해
이며, 남쪽의 신라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이루었던 북쪽의 북국입니다.

발해는 고구려의 드넓은 기상과 문화를 계승하여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넓은 영토를 다스리고 주변 국가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해동성국이라 불릴 만큼 융성했습니다.
아래 표는 이러한 발해를 이끌었던 왕들의 계보와 그 시대의 주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남북극시대
발해
1 고왕 (대조영) 698년 ~ 719년 7세기 (즉위) 발해 건국 (주요 활동 7세기 말 ~ 8세기 초)
  2 무왕 (대무예) 719년 ~ 737년 8세기 당, 신라와 대립, 일본과 교류
  3 문왕  (대흠무) 737년 ~ 793년 8세기 당과 친선 관계, 3성 6부제 정비, 주자감 설치
  4 폐왕 (대원의) 793년 8세기 재위 기간 짧고 폐위됨
  5 성왕 (대화여) 793년 ~ 794년 8세기  
  6 강왕 (대숭린) 794년 ~ 809년 8세기 (즉위) (주요 활동 8세기 말 ~ 9세기 초)
  7 정왕 (대원유) 809년 ~ 812년 9세기  
  8 희왕 (대언의) 812년 ~ 817년경 9세기  연호 주작 사용
  9 간왕 (대명충) 817년경 ~ 818년 9세기  
  10 선왕 (대인수) 818년 ~ 830년 9세기 발해 최전성기 (해동성국), 대부분의 말갈족 복속
  11 화왕 (대이진) 830년 ~ 857년 9세기  
  12 대건황 857년 ~ 871년 9세기  
  13 대현석 871년 ~ 894년경 9세기  
  14 대위해 894년경 ~ 906년경 9세기 ~
10세기
 
  15 대인선 906년경 ~ 926년 10세기 발해 마지막 왕, 거란에 의해 멸망

바다가 보이는 누각에서 고려 귀족들이 탁자에 둘러앉아 고려청자 다기로 차를 즐기는 모습. 배경에는 무역선들이 가득한 항구가 펼쳐져 있다.
🎨이미지 설명: 국제 무역항 벽란도가 내려다보이는 누각에서 고려청자로 차를 즐기는 귀족들. 화려한 귀족 문화와 세계를 향해 열려 있던 고려의 개방적인 면모를 보여줍니다.


7) 고려시대

남북국 시대 이후, 신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후삼국을 통일하고 왕건에 의해 세워진 나라가 고려입니다.
원래는 송악(개경)의 호족이었으나 후고구려를 세운 궁예를 몰아내고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뜻을 담아 국호를 정했습니다. 고려는 약 500년 동안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며 우리 역사의 중요한 한 페이지를 장식했습니다.
고려는 찬란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으며, 아름다운 청자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발명하는 등 뛰어난 기술력을 자랑했습니다.
또한 거란, 몽골 등 강력한 외세의 침입에 맞서 끈질기게 항쟁하며 민족의 자긍심을 지켜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이러한 고려 왕조를 이끌었던 왕들의 계보와 그 시대의 주요 사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고려시대 1 태조(왕건) 918년 ~ 943년 10세기 고려 건국, 후삼국 통일, 훈요 10조
  2 혜종 943년 ~ 945년 10세기  
  3 정종(왕요) 945년 ~ 949년 10세기  
  4 광종 949년 ~ 975년 10세기 노비안검법, 과거제 실시, 왕권 강화
  5 경종 975년 ~ 981년 10세기 전시과 제도 시작
  6 성종 981년 ~ 997년 10세기 유교 정치 이념 확립, 2성 6부제, 12목 설치, 국자감 정비, 팔관회, 연등회 폐지
  7 목종 997년 ~ 1009년 10세기 (즉위) 강조의 정변으로 폐위 (주요 활동 10세기 말 ~ 11세기 초)
  8 현종 1009년 ~ 1031년 11세기 거란의 침입 격퇴 (강조의 정변 이후), 초조대장경 조판 시작
  9 덕종 1031년 ~ 1034년 11세기 천리장성 축조 시작
  10 정종(왕형) 1034년 ~ 1046년 11세기  
  11 문종 1046년 ~ 1083년 11세기 고려 문화 황금기, 법제 정비, 국제 교류 활발
  12 순종 1083년 11세기 재위 기간 짧음
  13 선종 1083년 ~ 1094년 11세기 의천의 천태종 개창 지원
  14 헌종 1094년 ~ 1095년 11세기  
  15 숙종 1095년 ~ 1105년 11세기 (즉위) 별무반 설치, 화폐 주조 (주조 활발 11세기 말 ~ 12세기 초)
  16 예종 1105년 ~ 1122년 12세기 여진 정벌 (윤관의 9성), 국학 7재, 양현고 설치
  17 인종 1122년 ~ 1146년 12세기 이자겸의 난, 묘청의 난
  18 의종 1146년 ~ 1170년 12세기 무신정변 발생
  19 명종 1170년 ~ 1197년 12세기 무신 집권기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20 신종 1197년 ~ 1204년 12세기 (즉위) 최충헌 집권기 시작 (주요 활동 12세기 말 ~ 13세기 초)
  21 희종 1204년 ~ 1211년 13세기 최충헌에 의해 폐위
  22 강종 1211년 ~ 1213년 13세기  
  23 고종 1213년 ~ 1259년 13세기 몽골 침입, 팔만대장경 조판, 강화도 천도
  24 원종 1259년 ~ 1274년 13세기 몽골과 강화, 개경 환도, 삼별초 항쟁
  25 충렬왕 1274년 ~ 1308년 13세기 (즉위) 원 간섭기 시작 (주요 활동 13세기 말 ~ 14세기 초)
  26 충선왕 1308년 ~ 1313년 14세기 (복위, 원나라에서 주로 활동)
  27 충숙왕 1313년 ~ 1330년 14세기 (복위)
  28 충혜왕 1330년 ~ 1332년 14세기 (복위, 폭정)
  29 충목왕 1344년 ~ 1348년 14세기  
  30 충정왕 1348년 ~ 1351년 14세기  
  31 공민왕 1351년 ~ 1374년 14세기 반원 자주 정책, 쌍성총관부 수복, 신돈 등용,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32 우왕 1374년 ~ 1388년 14세기 왜구 침입 극심, 위화도 회군으로 폐위
  33 창왕 1388년 ~ 1389년 14세기  
  34 공양왕 1389년 ~ 1392년 14세기 고려 마지막 왕

집현전에서 곤룡포를 입은 세종대왕이 사모를 쓴 학자들과 함께 훈민정음이 적힌 문서를 보며 토론하고 있는 모습.
🎨이미지 설명: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훈민정음 창제를 논의하는 세종대왕. 백성을 위하는 애민정신과 실용 학문을 중시했던 조선의 가장 위대한 순간 중 하나입니다.


8) 조선시대

고려 말 혼란한 시기,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신진사대부 세력과 함께 정치적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이후 고려 공양왕으로부터 왕위를 이어받아(선위) 1392년 새로운 왕조인 조선을 건국했습니다.

태조 이성계가 세운 조선은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삼아 약 500여 년 동안 한반도를 다스렸으며, 이는 우리 역사상 가장 오래 지속된 왕조입니다.

수도를 한양(오늘날의 서울)으로 정하고 중앙집권적 국가 체제를 다진 조선은, 세종대왕 시기 훈민정음 창제를 비롯하여 과학, 예술,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때로는 외세의 침략과 내부의 격변을 겪기도 했지만, 이를 극복하며 고유한 민족문화를 꽃피웠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조선을 이끌었던 왕들의 계보와 그 시대의 주요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대 왕명 재위 기간 (추정/기록) 해당 세기
(즉위년 기준)
비고
조선시대 1 태조
(이성계)
1392년 ~ 1398년 14세기 조선건국
  2 정종 1398년 ~ 1400년 14세기  
  3 태종 1400년 ~ 1418년 14세기 (즉위) 실제 주요 활동은 15세기 초에 집중
  4 세종 1418년 ~ 1450년 15세기 훈민정음 창제 등
  5 문종 1450년 ~ 1452년 15세기  
  6 단종 1452년 ~ 1455년 15세기  
  7 세조 1455년 ~ 1468년 15세기 계유정난
  8 예종 1468년 ~ 1469년 15세기  
  9 성종 1469년 ~ 1494년 15세기 경국대전 반포
  10 연산군 1494년 ~ 1506년 15세기 (즉위) 실제 주요 활동 및 폐위는 16세기 초
  11 중종 1506년 ~ 1544년 16세기 조광조 개혁, 기묘사화
  12 인종 1544년 ~ 1545년 16세기  
  13 명종 1545년 ~ 1567년 16세기 을사사화
  14 선조 1567년 ~ 1608년 16세기 (즉위) 임진왜란, 정유재란 (주요 사건은 16세기 말 ~ 17세기 초)
  15 광해군 1608년 ~ 1623년 17세기 중립 외교
  16 인조 1623년 ~ 1649년 17세기 인조반정, 병자호란
  17 효종 1649년 ~ 1659년 17세기 북벌론
  18 현종 1659년 ~ 1674년 17세기 예송 논쟁
  19 숙종 1674년 ~ 1720년 17세기 (즉위) 환국 정치 (주요 활동은 17세기 말 ~ 18세기 초)
  20 경종 1720년 ~ 1724년 18세기  
  21 영조 1724년 ~ 1776년 18세기 탕평책, 균역법
  22 정조 1776년 ~ 1800년 18세기 규장각 설치, 수원 화성 건설
  23 순조 1800년 ~ 1834년 18세기 (즉위) 세도 정치 시작 (주요 활동은 19세기 초)
  24 헌종 1834년 ~ 1849년 19세기  
  25 철종 1849년 ~ 1863년 19세기  
대한제국 26 고종
(광무황제)
1863년 ~ 1907년 19세기 (즉위) 대한제국 선포 (주요 활동은 19세기 말 ~ 20세기 초), 국권 피탈 위기
  27 순종
(융희황제)
1907년 ~ 1910년 20세기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국권 피탈

에필로그 - 역사의 페이지를 넘기며, 미래를 향한 지혜를 얻다

고조선의 단군왕검에서 시작하여 조선의 마지막 왕들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달려온 역대 왕조의 계보를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수많은 왕들의 이름과 그들이 살았던 시대의 단면들이 짧은 기록 속에 응축되어 있지만, 그 안에는 한 국가의 탄생과 성장, 위기와 극복, 그리고 소멸에 이르는 거대한 서사가 담겨 있습니다.

'한눈에 보는'이라는 제목처럼, 이 계보도는 방대한 우리 역사를 압축적으로 보여주는 하나의 창과 같습니다.
각 왕조와 왕들이 마주했던 도전과 선택, 그로 인한 결과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성찰과 교훈을 안겨줍니다.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자 미래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지혜의 보고이기 때문입니다.

이 계보도를 통해 우리 역사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여기서 얻은 앎을 바탕으로 각 시대와 인물들에 대한 더 깊은 탐구로 나아가신다면, 더욱 풍부한 역사적 통찰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과거를 통해 현재를 성찰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가는 여정에 이 작은 자료가 의미 있는 디딤돌이 되기를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역사 공부의 기본! 세기 계산법과 한국사 시대별 세기

 

조선 왕조 500년 – 역대 왕의 계보 완전정복


📚 참고 자료 출처


※ 모든 자료는 위의 공식 기관에서 제공한 원문 또는 요약본을 기반으로 내용을 재구성 정리하였습니다.